기록

일반검색

검색결과592
  • 키워드  장재연
WHO(세계보건기구) 미세먼지 질병부담 국가 순위/ 장재연 [미세먼지이야기 18]
제목 WHO(세계보건기구) 미세먼지 질병부담 국가 순위/ 장재연 [미세먼지이야기 18]
내용 이번 글은 이전 글을 읽고 난 후에 읽어야 한다. 이전 글로 돌아가 읽고 오기 귀찮은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지난번 글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미세먼지로 인한 조기 사망자' 수치는 원래의 취지와 달리, 마치 우리나라에서만 유독 엄청난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처럼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방식으로 정부와 일부 언론 및 전문가들에 의해…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9-02-08
식별번호 F-BC-0181
키워드
미세먼지 측정망을 붕괴시키려는 선무당들/ 장재연 [미세먼지이야기 19]
제목 미세먼지 측정망을 붕괴시키려는 선무당들/ 장재연 [미세먼지이야기 19]
내용 대한민국 국민 상당수가 매일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하루에도 몇 번씩 확인하고 있는 미세먼지 오염도는 정부가 전국의 대기오염측정망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해서 공개하고 있는 수치다. 일부 국민들은 정부 자료를 신뢰하지 못하겠다며 해외에 기반을 두고 있는 인터넷 사이트나 앱이 제공하는 수치를 확인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것들 역시 우리나라 측정망 자료를 그대로…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9-02-12
식별번호 F-BC-0180
키워드
제목 학자적 양심 걸고 말한다... 미세먼지 비상대책, 의미없다/ 장재연 [오마이뉴스 4]
내용 나는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 실시하는 비상대책에 대해 비판적인 발언을 많이 했다. 대표적인 게 서울시의 대중교통 무료 정책과 차량 2부제였다. 이런 주장을 하면, 놀라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누군가는 '환경단체 대표가 할 소리냐'라고 할 수도 있다. 출처 : https://blog.naver.com/free5293/221466886515 ※ 저작권…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9-02-15
식별번호 F-BC-0179
키워드
제목 "미세먼지=중국"은 틀렸다, 환경부는 왜 국민을 속이나/ 장재연 [오마이뉴스 5]
내용 미세먼지=중국'. 국민들 머릿속에 뿌리 깊게 박혀 있는 수식이다. 이런 수식을 만들고 유포한 건 한국 정부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우리나라 미세먼지 대부분은 중국산'이란 입장을 초지일관 유지해 왔다. 미세먼지 고농도 오염이 발생하면 중국발 미세먼지 기여율이 80% 이상 높아진다고 주장할 정도다. 출처 :…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9-02-28
식별번호 F-BC-0178
키워드
컴퓨터 그래픽 미세먼지에 농락당한 대한민국/ 장재연 [미세먼지이야기 20]
제목 컴퓨터 그래픽 미세먼지에 농락당한 대한민국/ 장재연 [미세먼지이야기 20]
내용 2013년 12월 20일 동아일보와 관련이 있는 ‘도깨비뉴스’라는 사이트에 흥미로운 뉴스가 보도됐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을 인용해서 “바람이 어느 방향으로 부는지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세계 지도가 공개됐다"라는 것이다. 널스쿨(nullschool)이라는 이름의 이 지도의 개발자는 카메론 베카리오라는 일본 도쿄에서 활동하는 미술가 겸 엔지니어로 알려졌다. 이…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9-03-10
식별번호 F-BC-0177
키워드
제목 미세먼지 우리 모두 속았다/장재연 인터뷰 [오마이뉴스-최종회]
내용 그는 학자적 양심을 걸었다. 미세먼지에 대한 진실을 알리는 데 이름을 내걸었다. 환경부를 향해 돌직구를 날렸다. '미세먼지=중국'이란 수식이 틀렸다고 했다. 정부를 향해선 국민을 속이지 말라고 했다. 언론을 향해서도 거침없는 하이킥을 날렸다. 공포를 조장하는 보도를 멈추라고 했다. 불편한 진실은 외면한 채 마스크 착용을 부추켜선 안 된다고 했다. 장재연…
생산자 유성호
생산일자 2019-03-17
식별번호 F-BC-0176
키워드
제목 [시론] 국민 기만하는 미세먼지 환경기준/ 장재연 2005.12.30 서울신문
내용 12월26일자 서울신문은 서울시의 미세먼지 농도를 현재보다 입방미터당 30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그램) 줄여 선진국 수준으로 맞추면 서울시민들의 평균 수명이 3.3년 늘어날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보도하였다. 대기오염과 사람들의 수명간 상관관계를 밝힌 연구논문은 국제적으로 다수 보고되고 있다. 또한 런던스모그 사건 등 수많은 경험을 통해서 대기오염이 건강에…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05-12-30
식별번호 F-BC-0174
키워드
제목 [green city21] 심각한 대기오염 2002.5.26 매일경제
내용 집을 나서면 숨쉬기가 두렵다. 지난 3월 하순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은 미세먼지 농도가 1000㎍/㎥을 넘어서는 사상 최악의 대기오염 상황에 노출됐다. 중국에서 발생한 황사가 황해를 건너 한반도를 강 타했기 때문이다. 출처 : https://blog.naver.com/free5293/220423935271 ※ 저작권 관련으로 원문은 서비스 되지…
생산자 김성회; 김병호; 황대진; 홍종성
생산일자 2015-07-18
식별번호 F-BC-0172
키워드
제목 서울 자치구 미세먼지 분석해보니…山 아래 공기가 왜 탁할까 2006.1.27 동아일보
내용 북한산에 인접해 ‘서울의 청정지역’으로 불리는 서울 도봉구와 은평구가 인체에 유해한 대기오염물질 가운데 하나인 미세먼지(PM10) 연평균 오염도가 각각 m³당 72μg, 70μg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심인 중구가 가장 오염=이는 서울시의 연간 기준치인 m³당 60μg(마이크로그램·1μg은 100만분의 1g)을 초과한 것이다. 환경부 기준치는 m³당…
생산자 황태훈; 홍수영
생산일자 2006-01-27
식별번호 F-BC-0171
키워드
제목 ‘중국발 미세먼지’가 언어도단? 2014.3.20 환경일보
내용 정부가 배출량자료, 기상자료, 연료사용량 자료 등의 부족으로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에서 국내 미세먼지 책임을 중국에 미뤄 전문가들 사이에서 정부가 관리책임 회피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사고 있다. 기상 전문가들은 ‘중국발 미세먼지’라는 단어 자체가 근거가 부족한 말이라고 지적한다. 중국이 한국 미세먼지에 미치는 영향이 절반 이상이라는 가설은 아직…
생산자 이연주
생산일자 2014-03-20
식별번호 F-BC-0170
키워드
제목 대기오염 실태와 대기오염 자료의 공개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조사연구 1989.10 환경과공해연구회
내용 본 조사는 환경오염 중 대기오염에 관해서 정부, 기업체, 학계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여 문제점과 대책 등에 관한 의견을 조사한 것이다. 환경오염은 일반국민 전체가 느끼는 정도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환경오염의 원인 규명과 대책 수립 등의 문제는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오랫동안 이 분야에 종사한 전문가들(대기 보전학회 회원) 의…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1989-10-00
식별번호 F-BC-0169
키워드
제목 대기오염도 전광판의 문제점/ 장재연 1990.2 환경과 공해
내용 올 겨울도 대기오염이 유난히 심하여 많은 국민들이 불안해 하면서 겨울을 보낸 것 같다. 대기 오염이 심하다. 내리는 빗물이 산성비다. 여러가지 불안한 말이 들리더니 이제는 대기오염으로 인하여 전철 사고가 발생했다고 하고, 겨울에 내리는 눈마저 산성눈이라고 한다. 눈이 오면 아이들도 강아지도 밖에 나가 눈을 맞으며 눈싸움을 하고 눈사람을 만든다는 이야기는…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1990-02-00
식별번호 F-BC-0168
키워드
제목 배출기준 작성 '푸른하늘 16강' 첫발 2002.4.8 한겨레신문
내용 초등학교의 휴교사태까지 불러온 최근의 황사는 대기오염 대책의 시급성을 일깨워줬다. 대기오염은 황사처럼 당장 눈에 띄지는 않지만 장기적으로 훨씬 커다란 건강·재산 피해를 일으킨다. 시민사회와 정부는 갈수록 심각해지는 대기오염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한겨레신문사는 환경운동연합과 함께 지난 3일 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대기오염 개선을 위한…
생산자 윤운식
생산일자 2002-04-08
식별번호 F-BC-0167
키워드
제목 미세먼지 마스크, 호흡기 질환자에겐 오히려 해로워/ 장재연 2014.4.1 연합뉴스
내용 미세먼지 예방을 위해 쓰는 마스크가 호흡기·심장 질환자, 임산부에게는 오히려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장재연 교수는 1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미세먼지로 인한 건강피해 예방·정책마련 토론회'에서 "외국에서는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때만 제한적으로 마스크를 권하고 있다"며 "아무런 기준, 주의점 없이…
생산자 오수진
생산일자 2014-04-01
식별번호 F-BC-0166
키워드
제목 중국발 미세먼지'는 지나친 책임 전가...내부 문제 찾아야 2014.3.12 TBS교통방송
내용 최근의 고농도 미세먼지 현상을 중국이라는 외부 요인으로 돌릴 것이 아니라 내부 오염원 관리의 문제점을 찾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아주대학교 예방의학교실의 장재연 교수는 오늘 서울시 신청사에서 열린 '초미세먼지 대응과 시민건강 보호'를 주제로 한 토론회에서 "중국발 미세먼지라는 표현은 지나친 책임 전가가 될 수 있으며 아직 과학적 증거가…
생산자 양아람
생산일자 2014-03-12
식별번호 F-BC-0165
키워드
제목 중국발 미세먼지라는 표현은 지나친 책임 전가 2014.3.12
내용 최근 후쿠시마 원전사고 3주년을 맞이하며 환경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더욱 뜨거운 가운데 중국發 초미세먼지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시민과 서울시가 함께 나섰다. 서울시는 ‘초미세먼지 대응과 시민건강 보호’를 주제로 12일(수), 신청사 태평홀에서 청책토론회가 열렸다. “초미세먼지와 시민건강 보호”라는 주제로 광운대 유경선 교수가 진행하고 초미세먼지 대응…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4-03-12
식별번호 F-BC-0164
키워드
제목 장재연교수 미세먼지 발생시 마스크 착용 권고 의학적 재검토 해야 2014.4.1 라포르시안
내용 미세먼지로 인한 환경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보건당국 차원의 예방 프로그램 운영 필요성이 제기됐다. 특히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마스크 착용 권고가 오히려 호흡기질환자 등 건강취약계층의 건강에 해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양병국)는 기후변화건강포럼과 공동으로 1일 오후 ‘미세먼지로 인한 건강피해 예방 및…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4-04-01
식별번호 F-BC-0162
키워드
제목 대기오염 종합지수로 공개해야 1988.6.2 한겨레신문
내용 환경공해에 대한 관심이 부쩍 드높아지고 있는 요즈음 환경공해의 정도를 간단한 지수로 표현 일반인들 손쉽게 환경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출처 : https://blog.naver.com/free5293/220428380468 ※ 저작권 관련으로 원문은 서비스 되지 않습니다.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1988-10-06
식별번호 F-BC-0160
키워드
제목 서울시 대기오염 건강유해/ 장재연 1988.10.6 한겨레신문
내용 서울 일부지역의 대기오염은 건강에 해를 끼칠 정도로 심각하고 그 주범은 아황산가스와 먼지의 복합오염인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https://blog.naver.com/free5293/220428383910 ※ 저작권 관련으로 원문은 서비스 되지 않습니다.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1988-10-06
식별번호 F-BC-0159
키워드
제목 대기오염자료 비공개 비밀유지/ 장재연 1989.10.29 한겨레신문
내용 대기 오염 자료가 비공개 비밀자료인 시절도 있었다. 정부로 하여금 대기오염 자료를 공개해서 연구자들이 사용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해, 대기오염 전문가들 대상으로 설문을 하는 연구를 실시해서 결과를 발표했다. 30여 년 전인 1989년은 그런 시절이었다. 지금은 세계 어떤 나라보다 쉽게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출처 :…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5-07-22
식별번호 F-BC-0158
키워드
제목 서울의 대기오염을 살핀다/ 장재연 1986년3월 과학동아
내용 1970년 '라센'(Lasen)이란 학자는 대기오염도와 '초과 사망자'(excess death) 사이에 깊은 관계가 있음을 발표하였다. 여기서 초과 사망자란 평소의 자연사에 의한 사망자 이외에 대기오염도가 높아짐으로 인하여 생기는 사망자를 일컫는 말이다. 이와같은 사실은 미국의 뉴욕시와 영국의 런던시에서 과거에 발생했던 대기오염 사건들의 실제 자료를 근거로…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1986-03-00
식별번호 F-BC-0157
키워드
5월12일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미세먼지 오염도/ 장재연
제목 5월12일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미세먼지 오염도/ 장재연
내용 세계보건기구(WHO)가 오늘 5월 12일 전 세계 도시들의 미세먼지 오염도 자료를 발표했다. 최악의 오염 도시들은 중동, 그다음은 인도, 중국 등. 오염도가 가장 낮은 도시들은 미국과 캐나다, 북유럽과 기타 유럽 일부, 오세아니아. 한국의 도시들은 PM10, PM2.5 모두 6개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3번째 좋은 그룹 정도에 속한다. 출처 :…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6-05-12
식별번호 F-BC-0155
키워드
우리나라 대기오염도에 관한 최근 두 번의 언론보도의 차이,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장재연
제목 우리나라 대기오염도에 관한 최근 두 번의 언론보도의 차이,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장재연
내용 며칠 전 5월 12일, 세계보건기구가 전 세계 주요 도시의 미세먼지 오염도를 발표하였고, 그 내용을 포스팅했었다.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미세먼지 오염도) 우리나라 미세먼지 오염도는 대략 6등급으로 나누면 3번째 등급에 해당하였다. 그런데 오늘 일부 언론이 예일대학이 발표했다는 환경성과지수(EPI)를 인용해 우리나라 이산화질소와 미세먼지(PM2.5)가 전…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6-05-16
식별번호 F-BC-0154
키워드
우리나라 초미세먼지는 초미세먼지가 아니다./ 장재연
제목 우리나라 초미세먼지는 초미세먼지가 아니다./ 장재연
내용 오래전 70년대, 학교 사회 수업시간에 ‘한국적 민주주의’라는 용어를 배웠다.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민주주의라니, 멋진 용어라고 생각했다. 나중에 대학교에 진학해서야 유신 독재를 감추기 위한 용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를 다르게 사용할 때는 뭔가 불순한 의도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 준 강렬한 경험이다. 출처 :…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6-05-25
식별번호 F-BC-0153
키워드
미세먼지 오염, 과도한 공포심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장재연
제목 미세먼지 오염, 과도한 공포심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장재연
내용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최고조에 달했다. 이미 수년 전부터 환경부는 전혀 맞지 않는 미세먼지 예보모델에 집착하고, 책임전가 등 잔꾀를 부리면서 대기오염 정책을 혼선에 빠뜨려왔다. 합당한 대책을 국민들에게 설득력 있게 제시하지 못하고 중국, 경유차, 고등어를 오락가락하면서 콩으로 메주를 쑨다고 해도 믿을 국민이 없을 지경이 되었다. 출처 :…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6-06-12
식별번호 F-BC-0152
키워드

기록

일반검색

검색결과592
  • 키워드  장재연

기록

일반검색

검색결과592
  • 키워드  장재연
WHO(세계보건기구) 미세먼지 질병부담 국가 순위/ 장재연 [미세먼지이야기 18]
WHO(세계보건기구) 미세먼지 질병부담 국가 순위/ 장재연 [미세먼지이야기 18]
이번 글은 이전 글을 읽고 난 후에 읽어야 한다. 이전 글로 돌아가 읽고 오기 귀찮은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지난번 글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미세먼지로 인한 조기…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9-02-08
식별번호
  F-BC-0181
키워드
미세먼지 측정망을 붕괴시키려는 선무당들/ 장재연 [미세먼지이야기 19]
미세먼지 측정망을 붕괴시키려는 선무당들/ 장재연 [미세먼지이야기 19]
대한민국 국민 상당수가 매일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하루에도 몇 번씩 확인하고 있는 미세먼지 오염도는 정부가 전국의 대기오염측정망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해서 공개하고 있는 수치다.…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9-02-12
식별번호
  F-BC-0180
키워드
학자적 양심 걸고 말한다... 미세먼지 비상대책, 의미없다/ 장재연 [오마이뉴스 4]
나는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 실시하는 비상대책에 대해 비판적인 발언을 많이 했다. 대표적인 게 서울시의 대중교통 무료 정책과 차량 2부제였다. 이런 주장을 하면, 놀라는 사람도 있을…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9-02-15
식별번호
  F-BC-0179
키워드
"미세먼지=중국"은 틀렸다, 환경부는 왜 국민을 속이나/ 장재연 [오마이뉴스 5]
미세먼지=중국'. 국민들 머릿속에 뿌리 깊게 박혀 있는 수식이다. 이런 수식을 만들고 유포한 건 한국 정부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우리나라 미세먼지 대부분은 중국산'이란…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9-02-28
식별번호
  F-BC-0178
키워드
컴퓨터 그래픽 미세먼지에 농락당한 대한민국/ 장재연 [미세먼지이야기 20]
컴퓨터 그래픽 미세먼지에 농락당한 대한민국/ 장재연 [미세먼지이야기 20]
2013년 12월 20일 동아일보와 관련이 있는 ‘도깨비뉴스’라는 사이트에 흥미로운 뉴스가 보도됐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을 인용해서 “바람이 어느 방향으로 부는지 실시간으로…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9-03-10
식별번호
  F-BC-0177
키워드
미세먼지 우리 모두 속았다/장재연 인터뷰 [오마이뉴스-최종회]
그는 학자적 양심을 걸었다. 미세먼지에 대한 진실을 알리는 데 이름을 내걸었다. 환경부를 향해 돌직구를 날렸다. '미세먼지=중국'이란 수식이 틀렸다고 했다. 정부를 향해선 국민을…
생산자
  유성호
생산일자
  2019-03-17
식별번호
  F-BC-0176
키워드
[시론] 국민 기만하는 미세먼지 환경기준/ 장재연 2005.12.30 서울신문
12월26일자 서울신문은 서울시의 미세먼지 농도를 현재보다 입방미터당 30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그램) 줄여 선진국 수준으로 맞추면 서울시민들의 평균 수명이 3.3년 늘어날…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05-12-30
식별번호
  F-BC-0174
키워드
[green city21] 심각한 대기오염 2002.5.26 매일경제
집을 나서면 숨쉬기가 두렵다. 지난 3월 하순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은 미세먼지 농도가 1000㎍/㎥을 넘어서는 사상 최악의 대기오염 상황에 노출됐다. 중국에서 발생한 황사가…
생산자
  김성회; 김병호; 황대진; 홍종성
생산일자
  2015-07-18
식별번호
  F-BC-0172
키워드
서울 자치구 미세먼지 분석해보니…山 아래 공기가 왜 탁할까 2006.1.27 동아일보
북한산에 인접해 ‘서울의 청정지역’으로 불리는 서울 도봉구와 은평구가 인체에 유해한 대기오염물질 가운데 하나인 미세먼지(PM10) 연평균 오염도가 각각 m³당 72μg,…
생산자
  황태훈; 홍수영
생산일자
  2006-01-27
식별번호
  F-BC-0171
키워드
‘중국발 미세먼지’가 언어도단? 2014.3.20 환경일보
정부가 배출량자료, 기상자료, 연료사용량 자료 등의 부족으로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에서 국내 미세먼지 책임을 중국에 미뤄 전문가들 사이에서 정부가 관리책임 회피하려는 것…
생산자
  이연주
생산일자
  2014-03-20
식별번호
  F-BC-0170
키워드
대기오염 실태와 대기오염 자료의 공개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조사연구 1989.10 환경과공해연구회
본 조사는 환경오염 중 대기오염에 관해서 정부, 기업체, 학계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여 문제점과 대책 등에 관한 의견을 조사한 것이다. 환경오염은 일반국민 전체가 느끼는 정도가…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1989-10-00
식별번호
  F-BC-0169
키워드
대기오염도 전광판의 문제점/ 장재연 1990.2 환경과 공해
올 겨울도 대기오염이 유난히 심하여 많은 국민들이 불안해 하면서 겨울을 보낸 것 같다. 대기 오염이 심하다. 내리는 빗물이 산성비다. 여러가지 불안한 말이 들리더니 이제는…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1990-02-00
식별번호
  F-BC-0168
키워드
배출기준 작성 '푸른하늘 16강' 첫발 2002.4.8 한겨레신문
초등학교의 휴교사태까지 불러온 최근의 황사는 대기오염 대책의 시급성을 일깨워줬다. 대기오염은 황사처럼 당장 눈에 띄지는 않지만 장기적으로 훨씬 커다란 건강·재산 피해를 일으킨다.…
생산자
  윤운식
생산일자
  2002-04-08
식별번호
  F-BC-0167
키워드
미세먼지 마스크, 호흡기 질환자에겐 오히려 해로워/ 장재연 2014.4.1 연합뉴스
미세먼지 예방을 위해 쓰는 마스크가 호흡기·심장 질환자, 임산부에게는 오히려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장재연 교수는 1일 충북 오송…
생산자
  오수진
생산일자
  2014-04-01
식별번호
  F-BC-0166
키워드
중국발 미세먼지'는 지나친 책임 전가...내부 문제 찾아야 2014.3.12 TBS교통방송
최근의 고농도 미세먼지 현상을 중국이라는 외부 요인으로 돌릴 것이 아니라 내부 오염원 관리의 문제점을 찾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아주대학교 예방의학교실의 장재연…
생산자
  양아람
생산일자
  2014-03-12
식별번호
  F-BC-0165
키워드
중국발 미세먼지라는 표현은 지나친 책임 전가 2014.3.12
최근 후쿠시마 원전사고 3주년을 맞이하며 환경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더욱 뜨거운 가운데 중국發 초미세먼지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시민과 서울시가 함께 나섰다. 서울시는 ‘초미세먼지…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4-03-12
식별번호
  F-BC-0164
키워드
장재연교수 미세먼지 발생시 마스크 착용 권고 의학적 재검토 해야 2014.4.1 라포르시안
미세먼지로 인한 환경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보건당국 차원의 예방 프로그램 운영 필요성이 제기됐다. 특히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마스크 착용 권고가 오히려…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4-04-01
식별번호
  F-BC-0162
키워드
대기오염 종합지수로 공개해야 1988.6.2 한겨레신문
환경공해에 대한 관심이 부쩍 드높아지고 있는 요즈음 환경공해의 정도를 간단한 지수로 표현 일반인들 손쉽게 환경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출처 :…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1988-10-06
식별번호
  F-BC-0160
키워드
서울시 대기오염 건강유해/ 장재연 1988.10.6 한겨레신문
서울 일부지역의 대기오염은 건강에 해를 끼칠 정도로 심각하고 그 주범은 아황산가스와 먼지의 복합오염인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1988-10-06
식별번호
  F-BC-0159
키워드
대기오염자료 비공개 비밀유지/ 장재연 1989.10.29 한겨레신문
대기 오염 자료가 비공개 비밀자료인 시절도 있었다. 정부로 하여금 대기오염 자료를 공개해서 연구자들이 사용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해, 대기오염 전문가들 대상으로 설문을 하는 연구를…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5-07-22
식별번호
  F-BC-0158
키워드
서울의 대기오염을 살핀다/ 장재연 1986년3월 과학동아
1970년 '라센'(Lasen)이란 학자는 대기오염도와 '초과 사망자'(excess death) 사이에 깊은 관계가 있음을 발표하였다. 여기서 초과 사망자란 평소의 자연사에 의한…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1986-03-00
식별번호
  F-BC-0157
키워드
5월12일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미세먼지 오염도/ 장재연
5월12일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미세먼지 오염도/ 장재연
세계보건기구(WHO)가 오늘 5월 12일 전 세계 도시들의 미세먼지 오염도 자료를 발표했다. 최악의 오염 도시들은 중동, 그다음은 인도, 중국 등. 오염도가 가장 낮은 도시들은…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6-05-12
식별번호
  F-BC-0155
키워드
우리나라 대기오염도에 관한 최근 두 번의 언론보도의 차이,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장재연
우리나라 대기오염도에 관한 최근 두 번의 언론보도의 차이,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장재연
며칠 전 5월 12일, 세계보건기구가 전 세계 주요 도시의 미세먼지 오염도를 발표하였고, 그 내용을 포스팅했었다.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미세먼지 오염도) 우리나라 미세먼지…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6-05-16
식별번호
  F-BC-0154
키워드
우리나라 초미세먼지는 초미세먼지가 아니다./ 장재연
우리나라 초미세먼지는 초미세먼지가 아니다./ 장재연
오래전 70년대, 학교 사회 수업시간에 ‘한국적 민주주의’라는 용어를 배웠다.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민주주의라니, 멋진 용어라고 생각했다. 나중에 대학교에 진학해서야 유신 독재를…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6-05-25
식별번호
  F-BC-0153
키워드
미세먼지 오염, 과도한 공포심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장재연
미세먼지 오염, 과도한 공포심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장재연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최고조에 달했다. 이미 수년 전부터 환경부는 전혀 맞지 않는 미세먼지 예보모델에 집착하고, 책임전가 등 잔꾀를 부리면서 대기오염 정책을 혼선에…
생산자
  장재연
생산일자
  2016-06-12
식별번호
  F-BC-0152
키워드
검색결과592
  • 키워드  장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