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일반검색

검색결과376
  • 사진작가  노순택
플라스틱전원일기_#DAH0501_2020
제목 플라스틱전원일기_#DAH0501_2020
내용 바람에 나풀거리는 플라스틱은 허수아비를 만드는 훌륭한 재료다.
식별번호 P-W-02590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G2601_2020
제목 플라스틱전원일기_#DAG2601_2020
내용 플라스틱으로 감싼 농자재의 풍경은 우리 농촌에서 가장 흔한 모습이다.
식별번호 P-W-02589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401_2020
제목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401_2020
내용 바람에 이리저리 휘날리다가 나뭇가지에 걸린 비닐하우스 잔해
식별번호 P-W-02588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5_2020
제목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5_2020
내용 바람에 이리저리 휘날리다가 전봇대에 걸린 비닐하우스 잔해
식별번호 P-W-02587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4_2020
제목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4_2020
내용 농자재를 파는 농협창고엔 플라스틱이 절반이다.
식별번호 P-W-02586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3_2020
제목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3_2020
내용 검은 비닐 멀칭은 일손이 부족한 농촌에서 열사람 몫을 해내는 효자상품이다.
식별번호 P-W-02585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2_2020
제목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2_2020
내용 플라스틱은 산짐승의 침입을 막는 논과 밭의 울타리가 되어 준다.
식별번호 P-W-02584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1_2020
제목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1_2020
내용 논에 물을 대기 위해 사용했던 비닐 호스가 논바닥에 꽃처럼 피어있다.
식별번호 P-W-02583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004_2020
제목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004_2020
내용 비닐하우스는 우리 농촌을 대표하는 상징물이다.
식별번호 P-W-02582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002_2020
제목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002_2020
내용 비료, 농약, 거름을 담는 온갖 농자재 포장들도 거의 플라스틱이다. 이것들은 재활용도 쉽지 않아 쌓이고 쌓이다가 불태워지곤 한다.
식별번호 P-W-02581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001_2020
제목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001_2020
내용 아기들의 이동수단이었다가 흐르고 흘러 농촌 늙은 농부들의 다리가 되어주는 보행기는 수명이 다하면 여기저기 버려진다.
식별번호 P-W-02580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1701_2020
제목 플라스틱전원일기_#DAE1701_2020
내용 미세플라스틱의 주범인 스티로폼은 농촌의 건축자재로, 보관용기로 애용된다. 한여름 수풀 속에 숨었던 녀석들은 가을 겨울 고개를 내민다.
식별번호 P-W-02579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0802_2020
제목 플라스틱전원일기_#DAE0802_2020
내용 한국사회에서 농촌은 생명과 먹거리의 중요한 공간이지만, 이곳이 친환경 생태공간일 거라는 믿음은 착각일 뿐이다. 농촌은 도시만큼은 아닐지라도 플라스틱으로 둘러싸여 있다. 플라스틱 없는 농사는 불가능할 지경이다. 바람부는 날에는 여기저기 비닐이 날아오르고 굴러다닌다.
식별번호 P-W-02578
키워드
210124_경기안성_매산리01
제목 210124_경기안성_매산리01
내용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매산리 죽주산성. 방문객들이 거리두기를 한 채 산 아래를 내려보고 있다.
식별번호 P-W-02577
키워드
210110_서울_청와대앞
제목 210110_서울_청와대앞
내용 복직투쟁 35년을 맞는 한진중공업 용접노동자 김진숙의 복직을 촉구하는 단식농성단 앞 경찰.
식별번호 P-W-02576
키워드
210102_경남밀양_밀양관아
제목 210102_경남밀양_밀양관아
내용 경남 밀양관아의 모형 포졸들이 마스크를 쓴 채 관광객을 맞고 있다.
식별번호 P-W-02575
키워드
201113_ 서울_평화시장앞02
제목 201113_ 서울_평화시장앞02
내용 평화시장 앞에서 열린 전태일 50주기 노동자집회에 참여한 비정규직 노동자들.
식별번호 P-W-02574
키워드
201113_ 서울_평화시장앞01
제목 201113_ 서울_평화시장앞01
내용 평화시장 앞에서 열린 전태일 50주기 노동자집회를 통제하는 경찰.
식별번호 P-W-02573
키워드
201113_ 서울_을지로
제목 201113_ 서울_을지로
내용 평화시장 앞에서 열린 전태일 50주기 노동자집회 사회자가 마스크를 쓴 채 방송차 위에서 아래를 내려보고 있다.
식별번호 P-W-02572
키워드
201113_ 서울_광화문네거리
제목 201113_ 서울_광화문네거리
내용 평화시장에서 청와대로 향하는 전태일 50주기 추모 비정규직 노동자행진단.
식별번호 P-W-02571
키워드
201113_ 경기마석_모란공원03
제목 201113_ 경기마석_모란공원03
내용 경기도 마석 모란공원 전태일 50주기 추도식 공연을 준비하는 풍물패.
식별번호 P-W-02570
키워드
201113_ 경기마석_모란공원02
제목 201113_ 경기마석_모란공원02
내용 경기도 마석 모란공원에서 열린 전태일 50주기 추도식을 준비하는 노동운동가.
식별번호 P-W-02569
키워드
201113_ 경기마석_모란공원01
제목 201113_ 경기마석_모란공원01
내용 경기도 마석 모란공원에서 열린 전태일 50주기 추도식을 취재하는 기자들.
식별번호 P-W-02568
키워드
201102_제주공항
제목 201102_제주공항
내용 제주 입도를 환영하는 공항 하루방에 마스크가 씌워져 있다.
식별번호 P-W-02567
키워드
201030_전북군산_하제마을03
제목 201030_전북군산_하제마을03
내용 미군기지로 강제수용된 전북군산 하제마을에서 KBS 기자들이 이주주민을 인터뷰 하고 있다.
식별번호 P-W-02566
키워드

기록

일반검색

검색결과376
  • 사진작가  노순택

기록

일반검색

검색결과376
  • 사진작가  노순택
플라스틱전원일기_#DAH0501_2020
플라스틱전원일기_#DAH0501_2020
바람에 나풀거리는 플라스틱은 허수아비를 만드는 훌륭한 재료다.
식별번호
  P-W-02590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G2601_2020
플라스틱전원일기_#DAG2601_2020
플라스틱으로 감싼 농자재의 풍경은 우리 농촌에서 가장 흔한 모습이다.
식별번호
  P-W-02589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401_2020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401_2020
바람에 이리저리 휘날리다가 나뭇가지에 걸린 비닐하우스 잔해
식별번호
  P-W-02588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5_2020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5_2020
바람에 이리저리 휘날리다가 전봇대에 걸린 비닐하우스 잔해
식별번호
  P-W-02587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4_2020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4_2020
농자재를 파는 농협창고엔 플라스틱이 절반이다.
식별번호
  P-W-02586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3_2020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3_2020
검은 비닐 멀칭은 일손이 부족한 농촌에서 열사람 몫을 해내는 효자상품이다.
식별번호
  P-W-02585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2_2020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2_2020
플라스틱은 산짐승의 침입을 막는 논과 밭의 울타리가 되어 준다.
식별번호
  P-W-02584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1_2020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101_2020
논에 물을 대기 위해 사용했던 비닐 호스가 논바닥에 꽃처럼 피어있다.
식별번호
  P-W-02583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004_2020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004_2020
비닐하우스는 우리 농촌을 대표하는 상징물이다.
식별번호
  P-W-02582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002_2020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002_2020
비료, 농약, 거름을 담는 온갖 농자재 포장들도 거의 플라스틱이다. 이것들은 재활용도 쉽지 않아 쌓이고 쌓이다가 불태워지곤 한다.
식별번호
  P-W-02581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001_2020
플라스틱전원일기_#DAE2001_2020
아기들의 이동수단이었다가 흐르고 흘러 농촌 늙은 농부들의 다리가 되어주는 보행기는 수명이 다하면 여기저기 버려진다.
식별번호
  P-W-02580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1701_2020
플라스틱전원일기_#DAE1701_2020
미세플라스틱의 주범인 스티로폼은 농촌의 건축자재로, 보관용기로 애용된다. 한여름 수풀 속에 숨었던 녀석들은 가을 겨울 고개를 내민다.
식별번호
  P-W-02579
키워드
플라스틱전원일기_#DAE0802_2020
플라스틱전원일기_#DAE0802_2020
한국사회에서 농촌은 생명과 먹거리의 중요한 공간이지만, 이곳이 친환경 생태공간일 거라는 믿음은 착각일 뿐이다. 농촌은 도시만큼은 아닐지라도 플라스틱으로 둘러싸여 있다. 플라스틱…
식별번호
  P-W-02578
키워드
210124_경기안성_매산리01
210124_경기안성_매산리01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매산리 죽주산성. 방문객들이 거리두기를 한 채 산 아래를 내려보고 있다.
식별번호
  P-W-02577
키워드
210110_서울_청와대앞
210110_서울_청와대앞
복직투쟁 35년을 맞는 한진중공업 용접노동자 김진숙의 복직을 촉구하는 단식농성단 앞 경찰.
식별번호
  P-W-02576
키워드
210102_경남밀양_밀양관아
210102_경남밀양_밀양관아
경남 밀양관아의 모형 포졸들이 마스크를 쓴 채 관광객을 맞고 있다.
식별번호
  P-W-02575
키워드
201113_ 서울_평화시장앞02
201113_ 서울_평화시장앞02
평화시장 앞에서 열린 전태일 50주기 노동자집회에 참여한 비정규직 노동자들.
식별번호
  P-W-02574
키워드
201113_ 서울_평화시장앞01
201113_ 서울_평화시장앞01
평화시장 앞에서 열린 전태일 50주기 노동자집회를 통제하는 경찰.
식별번호
  P-W-02573
키워드
201113_ 서울_을지로
201113_ 서울_을지로
평화시장 앞에서 열린 전태일 50주기 노동자집회 사회자가 마스크를 쓴 채 방송차 위에서 아래를 내려보고 있다.
식별번호
  P-W-02572
키워드
201113_ 서울_광화문네거리
201113_ 서울_광화문네거리
평화시장에서 청와대로 향하는 전태일 50주기 추모 비정규직 노동자행진단.
식별번호
  P-W-02571
키워드
201113_ 경기마석_모란공원03
201113_ 경기마석_모란공원03
경기도 마석 모란공원 전태일 50주기 추도식 공연을 준비하는 풍물패.
식별번호
  P-W-02570
키워드
201113_ 경기마석_모란공원02
201113_ 경기마석_모란공원02
경기도 마석 모란공원에서 열린 전태일 50주기 추도식을 준비하는 노동운동가.
식별번호
  P-W-02569
키워드
201113_ 경기마석_모란공원01
201113_ 경기마석_모란공원01
경기도 마석 모란공원에서 열린 전태일 50주기 추도식을 취재하는 기자들.
식별번호
  P-W-02568
키워드
201102_제주공항
201102_제주공항
제주 입도를 환영하는 공항 하루방에 마스크가 씌워져 있다.
식별번호
  P-W-02567
키워드
201030_전북군산_하제마을03
201030_전북군산_하제마을03
미군기지로 강제수용된 전북군산 하제마을에서 KBS 기자들이 이주주민을 인터뷰 하고 있다.
식별번호
  P-W-02566
키워드
검색결과376
  • 사진작가  노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