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일반검색

검색결과262
  • 사진작가  박홍순
백두대간-함백산 #02
제목 백두대간-함백산 #02
내용 산 능선과 중계기지와 철조망을 함께 촬영함. 우리나라 산에는 보통 광산과 중계기지 헬기장과 고랭지 밭들이 있다
식별번호 P-W-03942
키워드
백두대간-덕항산
제목 백두대간-덕항산
내용 덕항산이 보이는 능선에 고랭지 밭이 보인다.
식별번호 P-W-03941
키워드
백두대간-고루포기산
제목 백두대간-고루포기산
내용 옛 대관렬 휴게소에서 남쪽으로 7~8km 남쪽에 있는 능선에 주로 고랭지 배추를 재배하는 밭이 있다. 밭사이로 난 길들이 흰색으로 밝게 빛나길 원했다
식별번호 P-W-03940
키워드
백두대간-새봉 #02
제목 백두대간-새봉 #02
내용 대관령 양떼목장에서 북쪽 도보로 4km 정도 가는 도중 능선에 보이는 군시설인 것 같은 폐타이어 벽과 백두대간 능선을 촬영하였다.
식별번호 P-W-03939
키워드
백두대간-새봉 #01
제목 백두대간-새봉 #01
내용 대관령 양떼목장에서 북쪽 도보로 4km 정도 가는 도중 능선에서 보이는 중계소와 백두대간 능선을 촬영하였다.
식별번호 P-W-03938
키워드
백두대간-마산
제목 백두대간-마산
내용 백두대간 남한의 최북단에 있는 마산 근처엔 우리나라 최초의 스키장인 알프스스키장이 있었다. 지금은 폐장된 상태이지만 그때만 해도 성업중이었다. 멀리 보이는 세갈래의 눈길은 스키 코스들이다.
식별번호 P-W-03937
키워드
백두대간-금산
제목 백두대간-금산
내용 경부고속도로 근처에 있는 백두대간 능선의 일부인 금산은 화강암 광산으로 훼손이 진행되고 있었다. 멀리서 보면 인간에 의해 깍여진 산허리가 흑백 사진의 효과로 자연암벽처럼 보이게 촬영하였다. 너무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게 의도한 것이다.
식별번호 P-W-03936
키워드
백두대간-덕항산 #01
제목 백두대간-덕항산 #01
내용 덕항산 능선에 있던 고랭지 채소밭. 오래 전부터 산을 일구어 살아왔던 우리 조상들의 삶터. 인간의 흔적이지만 그리 흉하게 생각되지 않는 것은 인간의 시각탓일지도 모르곘다.
식별번호 P-W-03935
키워드
백두대간-속리산 문장대
제목 백두대간-속리산 문장대
내용 문장대에서 비로봉 천황봉이 차례로 보이는 곳에서 백두대간의 장엄함이 잘 보이도록 촬영하였다.
식별번호 P-W-03934
키워드
백두대간-자병산 #02
제목 백두대간-자병산 #02
내용 자병산을 깍아 시멘트를 만들고 있는 한라시멘트 광산. 1997년 당시에도 처참했었는데 아직도 진행중. 백두대간 능선 가운데가 끊어 진것을 표현하고 싶었다.
식별번호 P-W-03933
키워드
백두대간-자병산 #01
제목 백두대간-자병산 #01
내용 자병산을 깍아 시멘트를 만들고 있는 한라시멘트 광산. 1997년 당시에도 처참했었는데 아직도 진행중. 까맣게 표현되는 산맥과 대비되어 뼈가 들어나는 듯하게 하얀색으로 표현되길 원했다.
식별번호 P-W-03932
키워드
백두대간-함백산 #01
제목 백두대간-함백산 #01
내용 함백산 정상 능선에 있는 헬기 착륙장. 근처에 국가대표 선수들 고지대 적응 선수숙소가 있었다.
식별번호 P-W-03931
키워드

기록

일반검색

검색결과262
  • 사진작가  박홍순

기록

일반검색

검색결과262
  • 사진작가  박홍순
백두대간-함백산 #02
백두대간-함백산 #02
산 능선과 중계기지와 철조망을 함께 촬영함. 우리나라 산에는 보통 광산과 중계기지 헬기장과 고랭지 밭들이 있다
식별번호
  P-W-03942
키워드
백두대간-덕항산
백두대간-덕항산
덕항산이 보이는 능선에 고랭지 밭이 보인다.
식별번호
  P-W-03941
키워드
백두대간-고루포기산
백두대간-고루포기산
옛 대관렬 휴게소에서 남쪽으로 7~8km 남쪽에 있는 능선에 주로 고랭지 배추를 재배하는 밭이 있다. 밭사이로 난 길들이 흰색으로 밝게 빛나길 원했다
식별번호
  P-W-03940
키워드
백두대간-새봉 #02
백두대간-새봉 #02
대관령 양떼목장에서 북쪽 도보로 4km 정도 가는 도중 능선에 보이는 군시설인 것 같은 폐타이어 벽과 백두대간 능선을 촬영하였다.
식별번호
  P-W-03939
키워드
백두대간-새봉 #01
백두대간-새봉 #01
대관령 양떼목장에서 북쪽 도보로 4km 정도 가는 도중 능선에서 보이는 중계소와 백두대간 능선을 촬영하였다.
식별번호
  P-W-03938
키워드
백두대간-마산
백두대간-마산
백두대간 남한의 최북단에 있는 마산 근처엔 우리나라 최초의 스키장인 알프스스키장이 있었다. 지금은 폐장된 상태이지만 그때만 해도 성업중이었다. 멀리 보이는 세갈래의 눈길은 스키…
식별번호
  P-W-03937
키워드
백두대간-금산
백두대간-금산
경부고속도로 근처에 있는 백두대간 능선의 일부인 금산은 화강암 광산으로 훼손이 진행되고 있었다. 멀리서 보면 인간에 의해 깍여진 산허리가 흑백 사진의 효과로 자연암벽처럼 보이게…
식별번호
  P-W-03936
키워드
백두대간-덕항산 #01
백두대간-덕항산 #01
덕항산 능선에 있던 고랭지 채소밭. 오래 전부터 산을 일구어 살아왔던 우리 조상들의 삶터. 인간의 흔적이지만 그리 흉하게 생각되지 않는 것은 인간의 시각탓일지도 모르곘다.
식별번호
  P-W-03935
키워드
백두대간-속리산 문장대
백두대간-속리산 문장대
문장대에서 비로봉 천황봉이 차례로 보이는 곳에서 백두대간의 장엄함이 잘 보이도록 촬영하였다.
식별번호
  P-W-03934
키워드
백두대간-자병산 #02
백두대간-자병산 #02
자병산을 깍아 시멘트를 만들고 있는 한라시멘트 광산. 1997년 당시에도 처참했었는데 아직도 진행중. 백두대간 능선 가운데가 끊어 진것을 표현하고 싶었다.
식별번호
  P-W-03933
키워드
백두대간-자병산 #01
백두대간-자병산 #01
자병산을 깍아 시멘트를 만들고 있는 한라시멘트 광산. 1997년 당시에도 처참했었는데 아직도 진행중. 까맣게 표현되는 산맥과 대비되어 뼈가 들어나는 듯하게 하얀색으로 표현되길…
식별번호
  P-W-03932
키워드
백두대간-함백산 #01
백두대간-함백산 #01
함백산 정상 능선에 있는 헬기 착륙장. 근처에 국가대표 선수들 고지대 적응 선수숙소가 있었다.
식별번호
  P-W-03931
키워드
검색결과262
  • 사진작가  박홍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