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일반검색

검색결과19
  • 사진작가  박홍순
  • 키워드  강원도
한강-강원도 정선군 동강 진탄나루 #01
제목 한강-강원도 정선군 동강 진탄나루 #01
내용 동강 진탄나루에 지난 여름 홍수로 인한 흔적이 남아있었다. 교각 위의 나뭇가지나 쓰레기들이 대변하는 것 같았다. 그 위에까지 물이 잠겼었다는건 상상하기 힘들었다.
식별번호 P-W-03966
키워드
한강-강원도 정선군 조양강
제목 한강-강원도 정선군 조양강
내용 남한강은 상류부터 각자의 이름이 있었다. 정선 아우리지부터 동강사이를 조양강이라 불렀다. 전경에 지난 여름의 홍수로 콘크리트 도로가 뒤집혀 복구되지 않고 그 위에 눈이 쌓여 자연암반처럼 보였다. 이런게 흑백사진의 묘미인 것이다.
식별번호 P-W-03964
키워드
한강-강원도 화천군 파로호
제목 한강-강원도 화천군 파로호
내용 화천에 있는 파로호로 가는 도중 북한강 위에 이제는 녹쓸어 가는 옛철도가 눈에 띄였다. 파로호는 화천댐으로 만들어진 인공호수인데 호수의 상류 최북단은 평화의 댐이다.
식별번호 P-W-03963
키워드
한강-강원도 영월군 동강입구
제목 한강-강원도 영월군 동강입구
내용 1999년 영월댐 반대를 위해 기획된 가나아트의 김준기기획 의 전시를 위해 촬영하러 가서 촬영한 작품이다. 그때 당시 영월읍 옛 영월대교에서 촬영하였다. 멀리 봉래터널을 뚫고 38번 국도를 잇는 공사가 한창이었다.
식별번호 P-W-03962
키워드
한강-강원도 정선군 동강 #01
제목 한강-강원도 정선군 동강 #01
내용 1999년 당시 동강 하류에 영월댐을 건설한다는 계획이 발표 되고 찬반 논란이 가속화 되었다. 결국은 백지화 되었지만 그 결과 온 국민이 동강을 알게 되었고 여름이면 레프팅등 물놀이를 하기위한 인파로 몸살을 알았다. 강 중간에 흐릿하게 보이는 물체가 레프팅하는 보트이다.
식별번호 P-W-03961
키워드
한강-강원도 양구군 평화의 댐 #01
제목 한강-강원도 양구군 평화의 댐 #01
내용 1987년 전두환대통령때 국민사기극으로 시작된 댐건설이 88년 5월에 완공 되었지만 이후 홍수조절기능을 위해 2002년 9월 증축공사를 다시 시작 되었다,
식별번호 P-W-03959
키워드
백두대간-대관령
제목 백두대간-대관령
내용 대관령의 예 휴게소이다. 옛길로 가야만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식별번호 P-W-03954
키워드
백두대간-두타산
제목 백두대간-두타산
내용 멀리 두타산 정상이 보이고 산불로 인해 산이 헐벗은 것이 보인다.
식별번호 P-W-03950
키워드
백두대간-황병산 삼양목장
제목 백두대간-황병산 삼양목장
내용 멀리 황병산이 보이고 중간엔 우리나라 최초로 고랭지에 세운 삼양목장이 보인다. 대간임에도 불구하고 평원이 인상적이었다.
식별번호 P-W-03946
키워드
백두대간-함백산 #02
제목 백두대간-함백산 #02
내용 산 능선과 중계기지와 철조망을 함께 촬영함. 우리나라 산에는 보통 광산과 중계기지 헬기장과 고랭지 밭들이 있다
식별번호 P-W-03942
키워드
백두대간-덕항산
제목 백두대간-덕항산
내용 덕항산이 보이는 능선에 고랭지 밭이 보인다.
식별번호 P-W-03941
키워드
백두대간-고루포기산
제목 백두대간-고루포기산
내용 옛 대관렬 휴게소에서 남쪽으로 7~8km 남쪽에 있는 능선에 주로 고랭지 배추를 재배하는 밭이 있다. 밭사이로 난 길들이 흰색으로 밝게 빛나길 원했다
식별번호 P-W-03940
키워드
백두대간-새봉 #02
제목 백두대간-새봉 #02
내용 대관령 양떼목장에서 북쪽 도보로 4km 정도 가는 도중 능선에 보이는 군시설인 것 같은 폐타이어 벽과 백두대간 능선을 촬영하였다.
식별번호 P-W-03939
키워드
백두대간-새봉 #01
제목 백두대간-새봉 #01
내용 대관령 양떼목장에서 북쪽 도보로 4km 정도 가는 도중 능선에서 보이는 중계소와 백두대간 능선을 촬영하였다.
식별번호 P-W-03938
키워드
백두대간-마산
제목 백두대간-마산
내용 백두대간 남한의 최북단에 있는 마산 근처엔 우리나라 최초의 스키장인 알프스스키장이 있었다. 지금은 폐장된 상태이지만 그때만 해도 성업중이었다. 멀리 보이는 세갈래의 눈길은 스키 코스들이다.
식별번호 P-W-03937
키워드
백두대간-덕항산 #01
제목 백두대간-덕항산 #01
내용 덕항산 능선에 있던 고랭지 채소밭. 오래 전부터 산을 일구어 살아왔던 우리 조상들의 삶터. 인간의 흔적이지만 그리 흉하게 생각되지 않는 것은 인간의 시각탓일지도 모르곘다.
식별번호 P-W-03935
키워드
백두대간-자병산 #02
제목 백두대간-자병산 #02
내용 자병산을 깍아 시멘트를 만들고 있는 한라시멘트 광산. 1997년 당시에도 처참했었는데 아직도 진행중. 백두대간 능선 가운데가 끊어 진것을 표현하고 싶었다.
식별번호 P-W-03933
키워드
백두대간-자병산 #01
제목 백두대간-자병산 #01
내용 자병산을 깍아 시멘트를 만들고 있는 한라시멘트 광산. 1997년 당시에도 처참했었는데 아직도 진행중. 까맣게 표현되는 산맥과 대비되어 뼈가 들어나는 듯하게 하얀색으로 표현되길 원했다.
식별번호 P-W-03932
키워드
백두대간-함백산 #01
제목 백두대간-함백산 #01
내용 함백산 정상 능선에 있는 헬기 착륙장. 근처에 국가대표 선수들 고지대 적응 선수숙소가 있었다.
식별번호 P-W-03931
키워드

기록

일반검색

검색결과19
  • 사진작가  박홍순
  • 키워드  강원도

기록

일반검색

검색결과19
  • 사진작가  박홍순
  • 키워드  강원도
한강-강원도 정선군 동강 진탄나루 #01
한강-강원도 정선군 동강 진탄나루 #01
동강 진탄나루에 지난 여름 홍수로 인한 흔적이 남아있었다. 교각 위의 나뭇가지나 쓰레기들이 대변하는 것 같았다. 그 위에까지 물이 잠겼었다는건 상상하기 힘들었다.
식별번호
  P-W-03966
키워드
한강-강원도 정선군 조양강
한강-강원도 정선군 조양강
남한강은 상류부터 각자의 이름이 있었다. 정선 아우리지부터 동강사이를 조양강이라 불렀다. 전경에 지난 여름의 홍수로 콘크리트 도로가 뒤집혀 복구되지 않고 그 위에 눈이 쌓여…
식별번호
  P-W-03964
키워드
한강-강원도 화천군 파로호
한강-강원도 화천군 파로호
화천에 있는 파로호로 가는 도중 북한강 위에 이제는 녹쓸어 가는 옛철도가 눈에 띄였다. 파로호는 화천댐으로 만들어진 인공호수인데 호수의 상류 최북단은 평화의 댐이다.
식별번호
  P-W-03963
키워드
한강-강원도 영월군 동강입구
한강-강원도 영월군 동강입구
1999년 영월댐 반대를 위해 기획된 가나아트의 김준기기획 의 전시를 위해 촬영하러 가서 촬영한 작품이다. 그때 당시 영월읍 옛 영월대교에서 촬영하였다. 멀리 봉래터널을 뚫고…
식별번호
  P-W-03962
키워드
한강-강원도 정선군 동강 #01
한강-강원도 정선군 동강 #01
1999년 당시 동강 하류에 영월댐을 건설한다는 계획이 발표 되고 찬반 논란이 가속화 되었다. 결국은 백지화 되었지만 그 결과 온 국민이 동강을 알게 되었고 여름이면 레프팅등…
식별번호
  P-W-03961
키워드
한강-강원도 양구군 평화의 댐 #01
한강-강원도 양구군 평화의 댐 #01
1987년 전두환대통령때 국민사기극으로 시작된 댐건설이 88년 5월에 완공 되었지만 이후 홍수조절기능을 위해 2002년 9월 증축공사를 다시 시작 되었다,
식별번호
  P-W-03959
키워드
백두대간-대관령
백두대간-대관령
대관령의 예 휴게소이다. 옛길로 가야만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식별번호
  P-W-03954
키워드
백두대간-두타산
백두대간-두타산
멀리 두타산 정상이 보이고 산불로 인해 산이 헐벗은 것이 보인다.
식별번호
  P-W-03950
키워드
백두대간-황병산 삼양목장
백두대간-황병산 삼양목장
멀리 황병산이 보이고 중간엔 우리나라 최초로 고랭지에 세운 삼양목장이 보인다. 대간임에도 불구하고 평원이 인상적이었다.
식별번호
  P-W-03946
키워드
백두대간-함백산 #02
백두대간-함백산 #02
산 능선과 중계기지와 철조망을 함께 촬영함. 우리나라 산에는 보통 광산과 중계기지 헬기장과 고랭지 밭들이 있다
식별번호
  P-W-03942
키워드
백두대간-덕항산
백두대간-덕항산
덕항산이 보이는 능선에 고랭지 밭이 보인다.
식별번호
  P-W-03941
키워드
백두대간-고루포기산
백두대간-고루포기산
옛 대관렬 휴게소에서 남쪽으로 7~8km 남쪽에 있는 능선에 주로 고랭지 배추를 재배하는 밭이 있다. 밭사이로 난 길들이 흰색으로 밝게 빛나길 원했다
식별번호
  P-W-03940
키워드
백두대간-새봉 #02
백두대간-새봉 #02
대관령 양떼목장에서 북쪽 도보로 4km 정도 가는 도중 능선에 보이는 군시설인 것 같은 폐타이어 벽과 백두대간 능선을 촬영하였다.
식별번호
  P-W-03939
키워드
백두대간-새봉 #01
백두대간-새봉 #01
대관령 양떼목장에서 북쪽 도보로 4km 정도 가는 도중 능선에서 보이는 중계소와 백두대간 능선을 촬영하였다.
식별번호
  P-W-03938
키워드
백두대간-마산
백두대간-마산
백두대간 남한의 최북단에 있는 마산 근처엔 우리나라 최초의 스키장인 알프스스키장이 있었다. 지금은 폐장된 상태이지만 그때만 해도 성업중이었다. 멀리 보이는 세갈래의 눈길은 스키…
식별번호
  P-W-03937
키워드
백두대간-덕항산 #01
백두대간-덕항산 #01
덕항산 능선에 있던 고랭지 채소밭. 오래 전부터 산을 일구어 살아왔던 우리 조상들의 삶터. 인간의 흔적이지만 그리 흉하게 생각되지 않는 것은 인간의 시각탓일지도 모르곘다.
식별번호
  P-W-03935
키워드
백두대간-자병산 #02
백두대간-자병산 #02
자병산을 깍아 시멘트를 만들고 있는 한라시멘트 광산. 1997년 당시에도 처참했었는데 아직도 진행중. 백두대간 능선 가운데가 끊어 진것을 표현하고 싶었다.
식별번호
  P-W-03933
키워드
백두대간-자병산 #01
백두대간-자병산 #01
자병산을 깍아 시멘트를 만들고 있는 한라시멘트 광산. 1997년 당시에도 처참했었는데 아직도 진행중. 까맣게 표현되는 산맥과 대비되어 뼈가 들어나는 듯하게 하얀색으로 표현되길…
식별번호
  P-W-03932
키워드
백두대간-함백산 #01
백두대간-함백산 #01
함백산 정상 능선에 있는 헬기 착륙장. 근처에 국가대표 선수들 고지대 적응 선수숙소가 있었다.
식별번호
  P-W-03931
키워드
검색결과19
  • 사진작가  박홍순
  • 키워드  강원도